카테고리 없음

레지스탕스란? 우리나라의 저항운동 역사

TMI대장 2025. 3. 19. 11:24
반응형



레지스탕스란? 우리나라의 저항운동 역사

레지스탕스(Resistance)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저항, 반항, 반대 운동을 의미한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점령에 맞서 싸운 프랑스의 저항운동을 가리킬 때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레지스탕스는 특정 국가에 국한되지 않으며, 외세의 침략이나 독재 권력에 저항하는 모든 움직임을 포괄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도 레지스탕스의 시대가 있었을까?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과 군사독재 정권에 맞선 민주화 운동이 대표적인 사례다.



1. 일제강점기의 레지스탕스 (항일 독립운동)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반도는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 이에 맞서 조선인들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했다.

(1) 의열투쟁 (무장 독립운동)
• 의열단 (김원봉 조직): 조선총독부, 경찰서, 군수공장을 폭파하는 등 강력한 항일 투쟁을 전개.
• 한인 애국단 (김구 조직): 이봉창·윤봉길 의사의 의거로 일본 지도부에 큰 타격을 줌.
• 독립군·광복군 활동: 만주와 중국에서 일본군과 전투하며, 연합군과 협력하여 독립운동을 펼침.

(2) 문화·사회운동
• 3·1운동 (1919년): 국내외 200만 명이 참여한 비폭력 만세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계기가 됨.
• 학생운동 (6·10 만세운동, 광주학생운동 등): 청년층이 중심이 되어 식민통치에 맞섬.
• 국내외 언론 및 문화운동: 신문, 잡지 등을 통해 독립 의식을 고취하고, 한글 보급 운동을 진행.

이러한 독립운동이 쌓여 광복(1945년)의 밑거름이 되었다.


2. 독재 정권에 대한 민주화 운동

해방 후에도 군사독재 정권이 들어서며 국민들은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해 저항했다.

(1) 4·19 혁명 (1960년)

이승만 정권의 부정선거에 항거해 전국적으로 시위가 발생했다.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시민들이 희생되었지만, 결국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면서 독재가 종식되었다.

(2) 5·18 민주화운동 (1980년)

전두환 군부정권이 계엄령을 선포하고, 이를 반대하는 시민들이 광주에서 저항했다. 계엄군의 강경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지만, 이후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3) 6월 민주항쟁 (1987년)

전두환 정권이 대통령 직선제를 거부하자, 전국적으로 민주화 시위가 확산되었다. 결국,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지며 민주주의 발전의 계기가 됐다.




프랑스의 레지스탕스가 나치 점령에 맞서 싸웠듯이, 우리나라에서도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을, 군사독재 시기에는 민주화를 위한 저항운동을 전개했다. 이 모든 저항의 역사가 쌓여 현재의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독립이 가능해졌다.

우리는 과거의 희생을 기억하고, 지금도 부당한 권력이나 억압에 맞서는 정신을 이어가야 하지 않을까?

반응형